-
프리미어 프로 정리(19강~28강)카테고리 없음 2023. 1. 18. 09:46
만들어놓은 자막을 자르거나 복사해서 사용하면 같은 위치에서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.
*만들어놓은 자막을 저장
자막 우클릭-Export as Motion Graphics Template-Thumbnail 체크
저장한 자막 확인 : Graphics 테마-Browse
*모션자막 재생시간 늘이기(모션이 끝난 후에도 자막이 유지되어야 할 때)
-모션이 끝난 시점 후에 클립을 컷해서 분리
-분리 된 클립에서 모션이 없는 클립을 고정하기 : 클립 우클릭-Add Frame Hold-자막 늘리기
*양끝에 모션이 있는 경우
-3등분
-시작되는 모션과 끝나는 모션을 분리
-가운데 클립을 Add Frame Hold하고 늘림
*모션 자막을 겹쳐서 더 다채로운 효과를 만들어보기
-상상력과 탐구가 중요하다.
*메세지 템플릿(카카오톡 같은 연출) *제공받은 템플릿
처음 자막을 만들면 그 이후에는 그 자막을 복사해서 사용
프로필 디자인 변경 : Essential Graphics-프로필 아이콘에서 변경
프로필 사진 변경 : 프로필 아이콘 감추기-'프로필사진으로쓰는곳' 켜기-사진 삽입-삽입한 사진은 '사진은 이 레이어 아래...' 아래로 이동-'사진은 이 레이어 아래...'에서 Mask with Shape 체크
*영상에 사진 삽입
화면에 맞추기(영상에 삽입할 때 영상보다 큰 경우가 대부분) : 사진 클립 우클릭-Scale to Frame Size
사진 자르기 : Effects-Crop-Effect Controls에서 조정
*인코딩
우측 상단 공유 모양 버튼 : Quick Export
or
File-Export-Media
*커스텀 인코딩
Video
CBR : 고정 비트레이트 방식(정적이든 동적이든 동일한 화질)
장점 : 용량 예측 가능, 안정적
단점 : 용량이 큼
VBR : 가변 비트레이트 방식(1pass, 2pass는 인코딩 횟수를 의미)
장점 : 용량적음
단점 : 인식하지 못하는 곳에서 싱크 틀어짐 발생 가능성
*화면 녹화 컨텐츠 제작 시 반드시 CBR방식으로 녹화하는 편이 좋음
-편집 프로그램에서 VBR영상 편집할 경우 싱크밀림 발생 가능성이 있음
*Target Bitrate 맥시먹은 10~30까지로 설정
Audio : 크게 용량을 차지하지 않아 어떤 비트레이트로 세팅해도 무관
*기본 프리셋을 먼저 설정한 후 자신에 맞춰 설정 변경
*와썹맨 스타일 브릿지
새 시퀀스 생성 : File-New-Sequence
뒷 배경 선택 : 프로젝트 패널 휴지통 옆 아이콘 : Color Matte
타임라인에 있는 사진을 크기, 위치 등 동일하게 변경
-프로젝트 패널과 클립이 동시 선택인 상태 : Alt 누르면서 바꿀사진을 사진 클립으로 드래그
트랙 중앙에 삽입 : 시퀀스 선택해서 미리보기 영상에 드래그-Insert
인공지능 말자막 : Captions 테마-Create transcription
*Creative Cloud 필요...